요즘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최근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엄지족'에게 방아쇠수지증후군 증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 13만 8359명이었던 방아쇠수지증후군 환자 수가
2012년 12만 269명, 2013년 16만 236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주로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발병하는 질병으로
손가락에 반복적인 힘이 가해지면 손가락의 힘줄이나 근육에 충격이 가고 이로 인해 통증이 생기고
손가락이 잘 펴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손가락을 구부릴 때, '딸칵'하는 소리와 함께 방아쇠를 당기는 느낌이 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주로 3~4번째 손가락과 엄지손가락에서 주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보통 아픈 손가락을 손등을 향해 늘려주면 엄지, 약지, 중지 순으로 반복적이고 심한 통증이 느껴지는데,
심할 경우엔 수술까지 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증후군 중 하나입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이 발생하는 특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알려진 바로는
반복적으로 손가락을 사용하게 되면 손바닥에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고,
이에 힘줄이 자극을 받아 염증이 유발되어 통증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주로 장시간 손을 사용하는 직업 종사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노화나 여성호르몬의 변화 등으로 인해 40~60대 중년 여성에게도 흔히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요새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을 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손가락의 반복적인 사용을 피하고
스마트폰 사용 시 자주 손가락과 손목을 풀어주어 긴장이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직업적으로 사용이 많은 사람들은 집에 돌아와 따뜻한 물에 손을 10분 정도 담가주고
핸드크림을 발라 부드럽게 손과 손가락을 마사지 해주면 방아쇠수지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 증상이 보이기전에 충분한 예방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기때문에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은 자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을 바꾸는 웃음의 비밀과 웃음의 효능 (0) | 2015.02.12 |
---|---|
노푸, 물로만 머리감기 과연 부작용은 없을까? (0) | 2015.01.30 |
음식 중독 자가진단법! 나는 음식중독일까요? (0) | 2015.01.23 |
일반담배와 전자담배 유해성에 대하여 (0) | 2015.01.14 |
금연에 도움을 주는 식품들 5가지 (0) | 2015.01.09 |